2008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여자 BMX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8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여자 BMX는 2008년 8월 20일부터 22일까지 베이징 라오산 BMX 경기장에서 열렸다. 16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개인 타임 트라이얼을 통해 준결승 진출자를 가렸으며, 준결승과 결승 레이스를 통해 메달의 주인을 결정했다. 결선에서는 앤 캐롤린 쇼송(프랑스)이 금메달, 래티티아 르 코길(프랑스)이 은메달, 질 킨트너(미국)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8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 2008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여자 개인 추발
2008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여자 개인 추발 경기는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되었으며, 레베카 로메로가 금메달을 획득했다. - 2008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 2008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남자 단체 스프린트
2008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남자 단체 스프린트는 2008년 8월 15일 베이징에서 열렸으며, 영국이 금메달을, 프랑스가 은메달을, 독일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사이클 - 1900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1900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은 프랑스 파리에서 남자 스프린트와 25km 두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벨로드롬 드 뱅센에서 열린 경기에서 프랑스가 압도적인 우세를 나타냈다. - 올림픽 사이클 - 1904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1904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은 미국 세인트루이스에서 미국 선수들만 참가한 가운데 7개의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마커스 헐리와 버튼 다우닝을 필두로 미국이 모든 메달을 휩쓸었다. - 올림픽 사이클에 관한 - 1900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1900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은 프랑스 파리에서 남자 스프린트와 25km 두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벨로드롬 드 뱅센에서 열린 경기에서 프랑스가 압도적인 우세를 나타냈다. - 올림픽 사이클에 관한 - 1904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1904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은 미국 세인트루이스에서 미국 선수들만 참가한 가운데 7개의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마커스 헐리와 버튼 다우닝을 필두로 미국이 모든 메달을 휩쓸었다.
2008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여자 BMX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종목 | 여자 BMX 사이클 |
대회 | 2008년 하계 올림픽 |
경기장 | 라오산 BMX 경기장 |
날짜 | 2008년 8월 20일 (시드) 2008년 8월 22일 (준결승 및 결승) |
참가 선수 | 16명 |
참가 국가 | 13개국 |
다음 대회 | 2012년 |
결과 | |
금메달 | 앤 캐롤린 쇼송 |
금메달 국가 | FRA |
은메달 | 래티티아 르 코길 |
은메달 국가 | FRA |
동메달 | 질 킨트너 |
동메달 국가 | USA |
우승 점수 | 35.976 |
2. 경기장
2008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여자 BMX 경기는 베이징의 라오산 BMX 경기장에서 열렸다.
도시 | 경기장 | 비고 |
---|---|---|
베이징 | 라오산 BMX 경기장 | 전 경기 |
경기 시간은 중국 표준시 (UTC+8) 기준이다.[8]
16명의 여자 선수들은 녹아웃 라운드의 시드를 정하기 위해 개인 타임 트라이얼에서 코스를 두 번 주행했다. 이후 시드를 바탕으로 2개의 준결승 조로 나뉘었다. 각 준결승은 3번의 코스 주행으로 구성되었으며, 순위에 따른 점수 시스템이 사용되었다. 각 준결승에서 상위 4명의 선수가 결승에 진출했다(총 8명). 결승은 준결승과 달리 한 번의 레이스로 진행되었으며, 결승선을 가장 먼저 통과한 선수가 금메달을 획득했다.[7]
2008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여자 BMX 경기는 예선, 준결선, 결선을 거쳐 메달 수상자를 결정했다.
3. 경기 일정
날짜 시간 경기 2008년 8월 20일 9:45 ~ 10:09 독주 1차 11:00 ~ 11:24 독주 2차 2008년 8월 22일 9:00 ~ 9:08 준결선 1차 9:30 ~ 9:38 준결선 2차 10:00 ~ 10:08 준결선 3차 10:30 ~ 10:35 결선 11:00 ~ 11:08 메달 시상식
4. 경기 방식
5. 경기 결과
경기 방식
경기 결과
순위 | 선수 | 국가 | 1차 시기 기록 (초) | 2차 시기 기록 (초) | 최종 기록 (초) | 차이 (초) |
---|---|---|---|---|---|---|
1 | 안느-캐롤린 쇼송 | 36.660 | 43.174 | 36.660 | ||
2 | 샤네즈 리드 | 59.330 | 36.882 | 36.882 | +0.222 | |
3 | 라에티티아 르 코르기에 | 37.606 | 37.145 | 37.145 | +0.485 | |
4 | 사라 워커 | 37.187 | 37.549 | 37.187 | +0.527 | |
5 | 가브리엘라 디아스 | 37.590 | 38.927 | 37.590 | +0.930 | |
6 | 니콜 칼리스토 | 38.260 | 37.717 | 37.717 | +1.057 | |
7 | 질 킨트너 | 39.031 | 37.913 | 37.913 | +1.253 | |
8 | 야나 호라코바 | 39.213 | 38.077 | 38.077 | +1.417 | |
9 | 제니 판드리히 | 39.152 | 38.209 | 38.209 | +1.549 | |
10 | 타냐 베일리 | 38.621 | 38.285 | 38.285 | +1.625 | |
11 | 레이크 클라우스 | 38.709 | 38.808 | 38.709 | +2.049 | |
12 | 아만다 소렌센 | 39.183 | 38.719 | 38.719 | +2.059 | |
13 | 사만다 콜스 | 39.813 | 39.137 | 39.137 | +2.477 | |
14 | 마리아 벨렌 두트 | 40.423 | 40.193 | 40.193 | +3.533 | |
15 | 아니코 호디 | 43.137 | 41.772 | 41.772 | +5.112 | |
16 | 마리윈 | 42.563 | 42.015 | 42.015 | +5.355 |
5. 1. 독주 (예선)
2008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여자 BMX 독주(예선) 경기는 2008년 8월 20일에 진행되었다. 선수들은 각각 두 번의 시간 기록을 측정했고, 그 중 더 좋은 기록으로 순위가 결정되었다.순위 | 선수 | 국가 | 1차 기록 (초) | 2차 기록 (초) | 최종 기록 (초) | 차이 (초) |
---|---|---|---|---|---|---|
1 | 안느-캐롤린 쇼송 | 36.660 | 43.174 | 36.660 | ||
2 | 샤나즈 리드 | 59.330 | 36.882 | 36.882 | +0.222 | |
3 | 라에티티아 르 코르귀에 | 37.606 | 37.145 | 37.145 | +0.485 | |
4 | 사라 워커 | 37.187 | 37.549 | 37.187 | +0.527 | |
5 | 가브리엘라 디아스 | 37.590 | 38.927 | 37.590 | +0.930 | |
6 | 니콜 칼리스토 | 38.260 | 37.717 | 37.717 | +1.057 | |
7 | 질 킨트너 | 39.031 | 37.913 | 37.913 | +1.253 | |
8 | 야나 호라코바 | 39.213 | 38.077 | 38.077 | +1.417 | |
9 | 제니 팽드리히 | 39.152 | 38.209 | 38.209 | +1.549 | |
10 | 타냐 베일리 | 38.621 | 38.285 | 38.285 | +1.625 | |
11 | 리케 클라우스 | 38.709 | 38.808 | 38.709 | +2.049 | |
12 | 아만다 쇠렌센 | 39.183 | 38.719 | 38.719 | +2.059 | |
13 | 사만다 쿨스 | 39.813 | 39.137 | 39.137 | +2.477 | |
14 | 마리아 벨렌 두토 | 40.423 | 40.193 | 40.193 | +3.533 | |
15 | 아니코 호디 | 43.137 | 41.772 | 41.772 | +5.112 | |
16 | 마 리윤 | 42.563 | 42.015 | 42.015 | +5.355 |
5. 2. 준결선
2008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여자 BMX 준결선 경기는 2008년 8월 22일에 진행되었다. 타임 트라이얼에서 배정된 16명의 선수가 2개 조로 나뉘어 각각 3번의 경기를 치러, 순위 점수가 낮은 상위 4명(총 8명)이 결승에 진출했다.각 조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조'''
순위 | 선수 | 1차 | 2차 | 3차 | 총점 | 비고 |
---|---|---|---|---|---|---|
1 | 안느-캐롤린 쇼송 (프랑스) | 36.931 (1위) | 37.028 (1위) | 36.747 (2위) | 4 | Q |
2 | 사라 워커 (뉴질랜드) | 37.499 (2위) | 39.038 (3위) | 36.731 (1위) | 6 | Q |
3 | 가브리엘라 디아스 (아르헨티나) | 37.605 (3위) | 38.235 (2위) | DNF (8위) | 13 | Q |
4 | 사만다 쿨스 (캐나다) | 39.765 (6위) | 39.457 (5위) | 38.690 (3위) | 14 | Q |
5 | 야나 호라코바 (체코) | 39.107 (5위) | 39.457 (4위) | 1:32.284 (7위) | 16 | |
6 | 예니 파흔드리히 (스위스) | 38.658 (4위) | 45.912 (7위) | 52.687 (6위) | 17 | |
7 | 마리윈 (중화인민공화국) | 41.789 (7위) | 41.497 (6위) | 41.839 (5위) | 18 | |
8 | 아만다 소렌센 (덴마크) | DNF (8위) | 47.469 (8위) | 39.474 (4위) | 20 |
'''2조'''
순위 | 선수 | 1차 시기 | 2차 시기 | 3차 시기 | 총점 | 비고 |
---|---|---|---|---|---|---|
1 | 래티티아 르 코르기에 (프랑스) | 1 (37.917) | 1 (37.130) | 2 (37.076) | 4 | Q |
2 | 질 킨트너 (미국) | 3 (38.950) | 3 (39.700) | 3 (38.235) | 9 | Q |
3 | 섀나즈 리드 (영국) | 7 (2:17.714) | 2 (39.218) | 1 (36.699) | 10 | Q |
4 | 니콜 칼리스토 (오스트레일리아) | 2 (38.244) | 6 (47.311) | 4 (38.435) | 12 | Q |
5 | 리케 클라우스 (네덜란드) | 4 (40.955) | 4 (40.143) | 5 (38.800) | 13 | |
6 | 호디 어니코 (헝가리) | 6 (44.021) | 5 (41.867) | 7 (40.169) | 18 | |
7 | 마리아 벨렌 두토 (아르헨티나) | 5 (41.307) | 7 (47.927) | 8 (40.295) | 20 | |
8 | 타냐 베일리 (오스트레일리아) | 8 (DNF) | 8 (DNF) | 6 (39.505) | 22 |
5. 2. 1. 1조
순위 | 선수 | 1차 | 2차 | 3차 | 총점 | 비고 |
---|---|---|---|---|---|---|
1 | 앤 캐롤린 쇼송 (프랑스) | 36.931 (1위) | 37.028 (1위) | 36.747 (2위) | 4 | Q |
2 | 사라 워커 (뉴질랜드) | 37.499 (2위) | 39.038 (3위) | 36.731 (1위) | 6 | Q |
3 | 가브리엘라 디아스 (아르헨티나) | 37.605 (3위) | 38.235 (2위) | DNF (8위) | 13 | Q |
4 | 사만다 쿨스 (캐나다) | 39.765 (6위) | 39.457 (5위) | 38.690 (3위) | 14 | Q |
5 | 야나 호라코바 (체코) | 39.107 (5위) | 39.457 (4위) | 1:32.284 (7위) | 16 | |
6 | 예니 파흔드리히 (스위스) | 38.658 (4위) | 45.912 (7위) | 52.687 (6위) | 17 | |
7 | 마리윈 (중화인민공화국) | 41.789 (7위) | 41.497 (6위) | 41.839 (5위) | 18 | |
8 | 아만다 소렌센 (덴마크) | DNF (8위) | 47.469 (8위) | 39.474 (4위) | 20 |
'''Q''' 결선 진출
5. 2. 2. 2조
순위 | 선수 | 1차 시기 | 2차 시기 | 3차 시기 | 총점 | 비고 |
---|---|---|---|---|---|---|
1 | 래티티아 르 코르기에 (프랑스) | 1 (37.917) | 1 (37.130) | 2 (37.076) | 4 | Q |
2 | 질 킨트너 (미국) | 3 (38.950) | 3 (39.700) | 3 (38.235) | 9 | Q |
3 | 섀나즈 리드 (영국) | 7 (2:17.714) | 2 (39.218) | 1 (36.699) | 10 | Q |
4 | 니콜 칼리스토 (오스트레일리아) | 2 (38.244) | 6 (47.311) | 4 (38.435) | 12 | Q |
5 | 리케 클라우스 (네덜란드) | 4 (40.955) | 4 (40.143) | 5 (38.800) | 13 | |
6 | 호디 어니코 (헝가리) | 6 (44.021) | 5 (41.867) | 7 (40.169) | 18 | |
7 | 마리아 벨렌 두토 (아르헨티나) | 5 (41.307) | 7 (47.927) | 8 (40.295) | 20 | |
8 | 타냐 베일리 (오스트레일리아) | 8 (DNF) | 8 (DNF) | 6 (39.505) | 22 |
5. 3. 결선
BMX영어 결선 경기는 2008년 8월 22일에 진행되었다. 준결승을 통과한 8명의 선수가 한 번의 경기로 메달을 결정지었다.순위 | 이름 | 국가 | 시간 | 비고 |
---|---|---|---|---|
-- | 안-캐롤라인 쇼송 | 35.976 | ||
-- | 레티시아 르 코르길레 | 38.042 | ||
-- | 질 킨트너 | 38.674 | ||
4 | 세라 워커 | 38.805 | ||
5 | 가브리엘라 디아스 | 39.747 | ||
6 | 니콜 칼리스토 | 1:19.609 | ||
7 | 사만다 쿨스 | 기권 | ||
8 | 샤나즈 리드 | 기권 |
6. 메달리스트
메달 | 선수 | 국가 |
---|---|---|
앤 캐롤린 쇼송 | ||
래티티아 르 코길 | ||
질 킨트너 |
참조
[1]
뉴스
Chausson of France wins first BMX gold at Olympics
https://web.archive.[...]
Xinhua News Agency
2008-08-22
[2]
뉴스
Chausson wins BMX laurels 21 years apart
https://www.reuters.[...]
Reuters
2008-08-22
[3]
뉴스
France takes gold and silver in women's BMX cycling
http://www.france24.[...]
France 24
2008-08-22
[4]
뉴스
Ailing but Elated, U.S. Team Wins 3 Medals in Debut of BMX
https://www.nytimes.[...]
2008-08-23
[5]
뉴스
Kintner earns BMX bronze
http://seattletimes.[...]
2008-08-23
[6]
링크
http://uci.ch/includ[...]
2017-08
[7]
웹사이트
BMX Competition Format
https://web.archive.[...]
NBC Olympics
2013-10-20
[8]
웹사이트
BMX: Results and Schedules
https://web.archive.[...]
NBC Olympics
2013-1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